기타
Git 강의 2
서영환
2024. 7. 2. 16:44
- Git을 활용한 프로젝트 진행 방법
- 최초 기능 관련하여 관리자 급에서 기초 셋팅
- 관리자가 기초 셋팅을 한 후 github에 등록
- 코드에 접근 가능하게 관련자들 등록
- dev라는 브랜치 생성 후 defualt 값 으로 변경
- main에 바로 업로드 하지 않고 dev라는 브랜치를 두어 개발이 완련된 부분만 main에 적용
- 기초 셋팅된 프로젝트를 git clone을 하여 가져온다
- 팀원은 따로 기초 셋팅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git clone을 하여 프로젝트 파일을 로컬에 저장
- git init의 경우 git clone 전에 하여 git을 활성화 해 놓기
- 기능 브랜치 생성 및 코드작성
- git clone을 통하여 기본 셋팅이 끝났으면 본인 작업할 기능명을 딴 브랜치 생성
- git branch 브랜치이름 or git checkout -b 브랜치 이름 or git switch -c 브랜치 이름
- 위 명령어 중 git branch 브랜치이름 사용하여 브랜치를 생성하였다면 따로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or git switch 브랜치 이름 을 통하여 브랜치 위치를 변경이 필요
- 이후 브랜치 위치가 변경이 되었다면 본인이 담당하는 기능을 구현
- git add, commit, push
- 브랜치 위치에서 코드를 수정 및 개발
- pull request 생성 및 코드리뷰
- 개발이 완료된 부분을 dev 쪽으로 올려 문제가 있는 팀원들의 리뷰 대기
- 내 로컬에서 충돌 해결 및 테스트
- 기능 구현이 일부 완료 되어 업데이트 필요시
- git pull orign dev
- git add .
- git commit -m '설명'
- git push
- clone을 한 후 처음 add, commit, push를 한개 짧은 시간이라면 위의 1번은 빼도 되나 시간이 조금 지난 상태이면 1번 명령어를 통하여 코드를 최신화
- 꼭 add, commit 후 push를 할 필요 없고 기능 개발이 완료 되었다면 push를 통하여 내가 개발 한 부분을 팀원들에게 공유
- 기능 구현이 일부 완료 되어 업데이트 필요시
- 코드 업로드 및 merge
- 충돌이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고 리뷰 또한 통과가 되었다면 해당 코드를 dev에 적용
- 1~7번을 추가 기능 구현을 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
- 최초 기능 관련하여 관리자 급에서 기초 셋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