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메뉴를 표시합니다.
    • 다음과 같은 음료를 실행창에 표시합니다.
      • 사이다 1,700원
      • 콜라 1,900원
      • 식혜 2,500원
      • 솔의눈 3,000원
  2. 코드
beverages = {
       "사이다": 1700,
       "콜라": 1900,
       "식혜": 2500,
       "솔의눈": 3000
}
print("음료수 자판기")
for key, value in beverages.items():
       # 여기에 print 문을 적어주세요
    print(key, value)

user_choice = input("음료를 선택해주세요")

if user_choice in beverages.keys() :
    coin = input("금액을 입력해주세요")
    coin = int(coin)
    if coin < beverages[user_choice]:
        # 실행 종료하기
        print("돈이 부족합니다")
    else:
        # 돈이 충분할 경우
        remain = coin - beverages[user_choice]
        print(f"선택하신 음료수는 {user_choice} 이고 잔돈은 {remain} 입니다")
else :
    print("선택한 음료수는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.")

 

  3.결과물

 

  4. 새롭게 알게된 함수

  • 딕셔너리 내부 함수 ( keys(), values(), items(),clear() )
    • keys()
      • 딕셔너리의 key에 해당되는 값으로 {name : value}에서 name에 해당되는 값들을 가져올 수 있다
    • values()
      • 딕셔너리의 value에 해당되는 값으로 {name : value}에서 value에 해당되는 값들을 가져올 수 있다
    • items()
      • 딕셔너리의 전체 값들을 가져올 수 있다. 묶음로 가져오므로 {name: value}에서(name,vlaue)의 값을 가진다
    • clear()
      • 딕셔너리 전체 값들을 삭제하여 딕셔너리를 데이터를 전체 삭제할

 

참조 사이트 : https://m.blog.naver.com/lovespreads/221356792271

 

파이썬 딕셔너리(Dictionary) 관련 함수

파이썬 딕셔너리(Dictionary)의 내장함수에 대해 알아볼게요. 딕셔너리도 문자열, 리스트, 튜플과 비...

blog.naver.com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