딕셔너리 (dictionary) - JSON 방식의 형태 { 'name' : value, ....}

함수 선언 방식

def f(x):

    내용

식으로 함수를 만들어 사용한다

 

조건문은 if/else 형식으로

if 조건내용 :

   내용

else : 

   내용

식으로 사용하면 여러개를 사용할경우 else 전에 elif를 사용하면 된다

 

반복문

배열 형태로 된 리스트의 내용을 뽑아 올때 주로 사용되며 형태로를

for i in list:

  내용

으로 사용한다

 

클래스

간단한 클래스 구성은 아래와 같다

class ClassName():

    def __init__(self,a,b...):

        self.a = a

        self.b = b ....

    def f(x):

        내용

init의 경우 클래스 생성시 자동으로 실해되면 뒤에 매겨변수를 입력할 경우 생성시 매개변수가 필요하게 된다. init가 꼭 있을 필요는 없으나 기본 생성시 변수를 생성이 필요할 경우 쓰는게 되도록 좋을거 같다

 

점근 표기법

빅오표기법 과 빅오메가표기법으로 나누어 표기된다. 빅오표기법은 최악의 결과 이며 빅오메가표기법은 최선의 결과를 말한다.

빅오표기법의 표시는 O(N), 이며 빅오메가표기법의 표시는 Ω(1)​로 표시한다

 

시간복잡도

 해결에 걸리는 시간

 

공간복잡도

 해결에 걸리는 공간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파이썬 난수 생성과 절대값  (0) 2024.05.24
[Python 알아보기] Lv1. 랜덤 닉네임 생성기  (0) 2024.05.24
파이썬 입력값 받는 함수  (0) 2024.05.22
파이썬 연산자  (0) 2024.05.22
파이썬 소수점 처리 방식  (0) 2024.05.22

+ Recent posts